경산 후불제 상조 하늘 휴(休)와 알아보는 전통과 현대의 장례절차 차이점

경산 후불제 상조 하늘 휴(休)와 알아보는 전통과 현대의 장례절차 차이점
안녕하십니까 경산 후불제 상조 하늘 휴(休)에서
전통 장례절차와 현대장례절차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많은 것이 변해가는 우리 사회는 장례절차도 예외가 아닙니다
전통방식에서 현대로 올수록 장례절차들이 간소하게 바뀐
현대식 장례절차와는 무엇이 달라졌는지 같이 알아가 보실까요?

-전통 장례절차-

첫째 날
1. 초종 : 토종이란 숨을 거두기 직전부터 죽은 뒤 부고를 하기까지의 절차를 말한다
2. 복: 시신의 영혼을 부르는 의식으로서 육체를 떠나는 영혼을 부르는 행위를 뜻한다
3. 입상자: 상(喪)의 주인을 세우는 것으로 장례의 주인이라고 하며 주인이라고 하면 장자를 이르는 말이며 장자가 없으면 장손으로  이행하는 것을 말한다
4. 역복불식 : 초종의 육신 단절, 복의 영혼 단절을 통해 완전한 죽음을 확인한 후 행하는 죽은 자에 대한 예우로 옷을 벗고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을 말한다
5. 치관 :  호상이 목공을 시켜 나무를 가려서 관을 만들게 하는 것으로, 생전에 미리 만들어 놓기도 하였다
6. 부고 : 호상과 사서가 상가를 위해 친척과 동료에게 서신을 발송하는 것을 말한다
7. 목욕 : 고인분을 깨끗이 목욕시키는 것을 말한다
8. 습 : 고인에게 옷을 입히는 것으로 의복을 겹쳐서 입힌다
9. 전: 예찬을 갖추어 장만하여 상에 진성하고 향로, 향합, 초를 그 앞에 설치하는 것으로 습진이라고도 한다
10. 위 위곡: 주인 이하 모두 위를 정하고 위에 나아가 부복하고 곡하는 것이다
11. 함: 새로 길을 물로 씻은 입쌀과 진주를 장만하여 베개를 치우고 방건을 들치고서 입안 오른쪽에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채우고 구슬 한 대를 채우며 왼쪽과 오른쪽에도 이와 같이 한다
함이 끝나면 베개를 도로 괴고 방건을 걷고 수관을 씌우고 충이를 하고 명목을 덮어 싸매고 리를 신긴 뒤 상복을 입히고 대대를 매고 악수를 싸매고서 이불을 덮는다
12. 영좌 :고인의 자리를 뜻하는 것으로 육체를 대신하여 영혼을 대신하여 즐겨 입으시던 옷가지를 놓는다
13. 명정:죽은 사람의 직위나 이름을 쓴 죽은 사람의 직위와 이름을 쓴 기(杞)를 명정이라고 하며, 붉은 비단으로 폭(幅) 있는 데로, 길이는 왕은 9척, 8척(5품 이하는 7척)으로 하고, 왕은 “대행왕 재고(大行王梓宮)”, 벼슬이 있는 사람은 “모관 모공 지구(某官某公之柩:아무 벼슬 아무 공의 구), 벼슬이 없으면 “수생시소칭(隋生時所稱:생시의 이름을 따른다)”이라 쓴다. 대나무로 깃대를 만드는 데 명정의 길이와 같게 하며 [부(趺:명정을 바치는 대(臺)]가 있고 영좌의 오른 편에 세운다.


둘째 날

1. 소렴

초종 다음날에 행한다. 시신을 교포, 산의, 염의로 싸는 것을 수렴이라 하며, 수렴상을 설치하고 욕 석관 베개를 깔고 그 위에 교(絞:염할 때 마지막으로 묶어 매는 베, 교포)를 펴는데 가로 매는 것을 아래쪽, 세로 매는 것을 위쪽에 두며 양 끝을 세 갈래로 하여 쓴다. 그다음에 이불, 산의(産衣:특별한 때가 아닌 평소에 입는 옷), 염의 일습을 깐다. 베개를 빼고 갠 옷을 펴 머리 밑에 깔고 양 끝을 말아서 양어깨 쪽의 빈 곳을 채우고 또 옷을 말아 양 정강이 사이에 끼워서 모가 반듯하게 한다. 그런 뒤에 남은 옷을 왼 깃이 위로 가게 좌이므로 여미는데 고름은 매지 않는다. 그리고 이불로 염하는 데 아직 교로 묶어 매지 않는다. 따로 이불을 덮고 병풍을 치고 습성을 치운다.

2. 전

예찬을 진설하고 그 앞에 향로, 향합, 초를 설치한다.


셋째 날

1. 성복
대렴한 다음 날, 즉 나흘째 날에 오복 제도에 따라 상복을 입는 것이다.

2. 조상
예찬을 진설하고 그 앞에 향로, 향합, 초를 설치한다.


넷째 날

1. 대렴

소렴한 시신을 교포와 이불 및 옷으로 싸서 묶고 입관하는 절차이다. 대렴 상을 설치하고 욕 석관 베개를 깐 후 교를 깐다. 교는 가로 매는 것 다섯은 아래에 두는데 두 폭을 여섯 조각으로 찢어서 다섯을 쓰며 세로 매는 것 셋은 위에 두는데 한 폭을 세 조각으로 찢어서 쓴다.

먼저 발을 싸고 다음에 머리를 싸며, 다음에 왼쪽을 싸고 다음에 오른쪽을 싼다. 먼저 봉쇄로발부 터 위로 올려 감추고 나서 금모(질)로 머리부터 아래로 감춘 다음 대를 매고 관에 모신다. 평시 빠진 이와 머리털 깎은 손톱, 발톱을 관안의 네 구석에 넣고 빈 곳은 옷을 말아서 막는다.

그런 뒤에 뚜껑을 덮고 임을 박고, 수보 관아로 덮고서 병풍을 친다. 대렴 후 전을 올리고 대렴 한 날 성빈(成殯)을 하고 전을 올린다.


-현대장례절차-
1일차운구-수시-고인 안치-빈소 설치-부고-상식 및 제사상
2일차 : 염습-반함-입관-성복-성복제
3일차발인식-운구-매장 화장-장례 후 의뢰

첫째 날


1. 임종 및 운구

자택에서 사망 시 병원 또는 장례식장으로 이송한다.
병원에서 사망 시 장례식장으로 이송한다. 사망 후 장의차를 이용한다.

2. 사망진단서(시체검안서) 발급

사망진단서(시체검안서)는 의사가 발급해 준다. 최소 7통 정도 필요하다.

3. 수시

고인의 옷과 몸을 바로 하여 수시를 한다.

4. 고인 안치

장례식장 안치실에 고인 안치한다. 상주는 고인이 안치된 냉장시설에 대한
번호 및 필요에 따른 보관 키를 인수받는다.

5. 빈소 선택 및 빈소 설치

영정사진 및 파일을 준비한다.
문상객의 인원 등을 고려하여 빈소를 선택한다.
종교별 기타 사항에 따라 빈소에 영좌 설치한다

6. 장례용품 선택

수의 및 관 등 장례용품 선택한다
문상객 접대를 위한 접객 용품 선택한다

7. 화장시설 예약

화장 시 인터넷으로 화장예약을 신청한다. (e 하늘 장사정보시스템 )

8. 부고

부고장 양식 참조하여 부고장, 전화, 문자 작성 후 발송한다..

9. 상식 및 제사상

고인이 살아계신 때와 같이 식사를 올린다.


둘째 날

1. 염습 및 입관

유가족의 경우 계약된 장례용품 확인하거나 고인이 생전에 준비한 수의를 사용하기도 한다.

염습 : 고인을 정결하게 씻기거나 소독하여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이다

반함 : 불린 쌀로만 반함하며, 상주가 진행하되, 원하는 유가족은 고인에게 반함할 수 있다.

반함 순서 : 불린 쌀을 고인의 입안 우측→좌측→중앙 순으로 넣는다.

입관 : 고인을 관에 모시는 것을 말하며 입관이 끝나면 관보를 덮고 명정을 발치 쪽에 세운다

2. 성복

성복 : 입관 후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현대식으로는 예복(정장)에서 완장을 차는 시기를 뜻한다

3. 성복제

상복으로 갈아입었으면제사 음식을 차린 후 제사를 드리며 종교가 있을 시 종교별 행사로 진행한다

4. 문상객 접객

상주, 상제는 애도하는 마음으로 빈소에서 문상객을 맞으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서 맞이를 합니다


셋째 날

1. 장례용품 및 장례식장 이용 비용 정산

2. 발인 또는 영결식

발인이랑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장례식장에서 장지로 관을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 쪽이 먼저 나가야 하며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올리는 발인제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

3. 운구

발인이 끝난 후 장지까지 영구차로 이동하며
유족분들은 장의차로 이동을 한다

먼저 전통과 현대의 장례절차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차이점이 무엇인지 아시겠습니까?

전통
1. 복이 있다(고인으로부터 떠나는 영혼을 부르는 의식)
2. 장례식장이 아니고 집이다
3. 상복이 다르다
4. 호상이 존재한다

현대

1. 장사방법이 다양하다
2. 빈소 내에 고인을 안치하지 않는다
3. 상복이 다르다
4. 장례절차가간편해졌다


이처럼 옛날 장례방식과 현대의 장례방식에는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장례가 간소화해지고 절차들이나 용어들도 많이 없어진 현대식 장례라 하더라도
내 가족의 마지막을 소중히 여기고 잘 보내드리고 싶은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같을 것입니다
저희 경산 하늘 휴(休) 후불제 상조는 이와 같은 장례절차를 내 가족인 거처럼,
마지막을 후회 없는소중한 기억이 되실 수 있도록 정성과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Comments are closed.